본문 바로가기
보험 쉽게 이해하기

실손보험, 한 번 가입하면 끝인 줄 아셨어요?

by 다정한 설계사 2025. 4. 16.

– 1년 갱신·15년 재가입 구조, 알고 계셨나요?

많은 분들이 이렇게 말씀하세요.
“실비요? 오래전에 가입했어요~”
그런데 정말 그 실비가 지금도 ‘그대로’일까요?


✅ 실손보험은 대부분 ‘1년 갱신형’입니다/

즉, 매년 보험료가 오를 수 있고
건강 상태에 따라 보장 조건도 바뀔 수 있다는 뜻이에요.

💬 실제 상담 사례
“5년 전엔 만 원대였는데, 지금은 3만 원 넘어요...”
“전 아픈 것도 없는데 병원갔다온적도 없고.. 그런데 왜 오르죠?”
→ 이유: 전체 손해율과 연령 증가,
그리고 세대별 구조 자체가 바뀌기 때문이에요.

🔁 그리고 15년마다 ‘재가입’을 해야 합니다

15년이 되면,
과거 실손을 ‘해지 후 재가입’하는 구조로 전환되는데요,
이때는 기존에 가입했던 보장 범위가 완전히 바뀔 수 있어요.

예전에는 넓었던 보장이
새로 재가입하면서 축소되거나,
특약이 빠지고, 자기부담금이 높아지는 경우도 있어요.

 

🎈 예시로 풀어보는 실손보험 구조

🟡 갱신은 매년 자동으로 보험료가 다시 계산 되는 것.

 보험은 유지되지만,
→ 나이/보험사 손해율에 따라 보험료는 계속 올라갈 수 있어요.
→ 예전엔 만 원대였던 실손이, 지금은 3~4만 원이 되는 이유가 바로 갱신 때문이에요.

✅ 갱신은 대부분 1년 단위로 일어납니다.
즉, “보험은 그대로지만 가격이 바뀌는 것”

🟠 재가입15년마다 한 번, 기존 실손을 종료하고 ‘새로운 상품으로 바꾸는 것이에요.

이때는
이전 보장 내용과 완전히 달라질 수 있고,
비급여 항목 축소, 자기부담금 증가, 특약 제외
전혀 다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어요.

✅ 재가입은 기존 실손을 끝내고, 신상품 조건으로 다시 드는 개념이라
내가 알고 있던 실손이 아닐 수도 있는 거예요.

 

※ 단, 1세대 실손보험(2009~2017년 가입)은
현재처럼 15년 재가입 구조가 아닌 갱신형 중심 구조입니다.
이 경우 보험료는 계속 오르지만,
재가입 요건은 없고 보장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은 상품이기 때문에
유지 여부는 전문가와 신중히 점검해야 합니다.


🔍 사람들이 잘 모르는 실손 재가입의 맹점

1️⃣ 본인은 계속 유지 중이라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완전히 다른 세대의 실손으로 전환됨

2️⃣ 중간에 병력이 생기면 재가입 자체가 어려울 수 있음
→ 실손 리모델링은 ‘건강할 때’ 해야 함

3️⃣ 보험료는 계속 오르는데, 보장은 오히려 줄어드는 상황 발생
→ 손해율 문제로 구조가 계속 바뀌는 중

 

 

💡 그래서 지금 점검이 필요한 이유

실손보험 하나 있다고 안심하지 마세요.
지금 가입한 구조가
✔ 몇 세대 실손인지
✔ 언제 갱신되는지
✔ 특약은 어떻게 구성됐는지
✔ 다른 보장과의 연계는 어떻게 되어 있는지

한 번만 점검해도 놓치는 손해를 줄일 수 있어요.

 

📌 실손 리모델링, 왜 필요한가요?

실손은 건강상태에 따라 리모델링이 안 될 수도 있고,
특약을 잘 활용하면
💡 수술비
💡 입원일당
💡 진단비
등의 보장으로 확장할 수 있어요.

"나는 실비만 있으니까 돼!" → NO
“지금 내 구조가 충분한가?” → YES or 다시 살펴보기

📱 실손은 ‘있는 것’보다
‘어떻게 설계돼 있는가’가 훨씬 중요합니다.

지금 내가 가진 실비,
과연 그대로 두는 게 맞는지
조용히 점검 받아보세요.

카카오톡 상담하기버튼 꾸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