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일을 하다보면 가입보다도 가입이후 보험관리나 청구 관계소통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병원에 가기전 병원에 다녀오신 후 설계사와 충분히 소통해주신다면 내가 내는 보험료가 아깝지 않단 생각 드실거에요 !!
보통은 대부분 가입만 해놓고 내가 왜 이걸 가입했지? 잊어버리는 경우도 있고
정말 큰병이나 걸려야 보상받는다고 생각하시지만
아닙니다. 보험은 늘 언제나 혹시모를 경우에 대비해서 나의 자산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소액이니까 뭐 이거 청구해서 얼마나 나오겠어 하지마시고
물어보시고 내가 받을수있는게 또 없는지 확인해보는 습관을 길러보세요
심지어 저희 부모님도 고혈압 당뇨약을 타서 드셨지만 ... 갈때마다 몇천원 몇만원 안하던데? 하면서 청구 안하던게 있으셨더라구요 ㅠㅠ 에그머니나.. 😢
지금은 제가 알려드렸더니 1년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청구하셔서 그래도 티끌모아 태산이라고 몇십만원씩 돌려받으시니까 좋아하셨어요..
여러분들께서도 보험가입해놓고 내가 못받고 있던 혜택은 없었는지 .. 한번 점검해보세요 !!!
– 만성질환 꿀팁까지 총정리!
보험은 가입도 중요하지만,
‘제대로 청구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진료비가 소액이라고 그냥 넘기고,
실손보험만 되는 줄 알고
숨은 보험금을 놓치는 분들이 정말 많거든요.
오늘은 실손보험 청구 꿀팁부터,
만성질환 약 처방 1년치 청구법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드릴게요!
✔ 병원비 청구, 기본부터 정확히!
병원에서 진료 후 보험금 청구 시, 꼭 알아두세요:
1️⃣ 청구 가능 기한
→ 진료일 기준 3년 이내 청구 가능
(기간 지나면 지급 불가)
2️⃣ 기본 서류
- 병원 진료비 영수증
- 약국 영수증 (처방 조제일자 포함)
- 진단서 또는 진단명이 포함된 서류 (질병 코드 확인용)
3️⃣ 청구 방법
→ 보험사 앱 또는 홈페이지로 간편 청구 가능
※ 10만 원 이하 소액 진료는 진단서 없이도 가능
✔ 진단코드에 따라 보험금이 달라질 수 있어요!
주의하세요!
병원에서 진단을 받는 경우
상병코드(진단코드)에 따라
보험 가입이나 추후 청구 금액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보험금이 지급되는 질병인지
🔹 가입 제한이 걸릴 수 있는 질병인지
→ 진단서에 기재된 코드 확인은 꼭 필요해요!
병원비 청구 전에 설계사에게 한 번만 상담받아도
훨씬 정확하고 안전하게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실비 말고, 다른 보험에서도 나올 수 있어요
고객님들 중 대부분이
“실손보험만 청구하면 끝”이라고 생각하세요.
하지만 가입 내역을 확인해보면,
✅ 수술특약 / 입원특약 / 진단금 / 통원치료비 / 재진비 등
다른 보험에서도 중복 청구 가능한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제가 상담할 땐,
가입 내역부터 전부 확인한 뒤
“어디서 얼마까지 청구 가능하다”는 걸
정확히 알려드리고 도와드려요.
💊 만성질환 약 복용자, 꼭 알아야 할 꿀팁
고혈압, 당뇨 등 정기적으로 약을 드시는 분들!
소액이라 청구 안 하고 계신가요?
1년치 몰아서 청구 가능합니다.
📝 준비할 서류는?
- 병원 진료비 영수증 1년치
- 약국 영수증 (조제일자 포함)
- 진단서 1부 (질병명 포함)
👉 병원/약국에 요청하면 출력 가능합니다.
👉 보험사 앱에서 한번에 청구 가능!
👉 실손 외 특약 여부도 함께 확인하면 더 많이 돌려받을 수 있어요.
📌 요약하자면
- 병원비는 진료일 기준 3년 이내 청구
- 진단서에 기재된 질병코드 꼭 확인
- 실손 외 특약 청구 가능 여부 점검
- 만성질환자는 1년치 청구로 더 효율적
- 혼자 하지 마세요! 전문가와 함께 점검하면 훨씬 든든합니다.
📱 보험 청구, 단순한 서류 작업이 아닙니다.
제대로 돌려받고, 보장까지 유지하는 게 핵심입니다.
궁금하시다면 카카오톡 상담 신청하세요.
'상담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은 구조다 – 당신의 노후 월급통장은 준비돼있나요? (5) | 2025.04.22 |
---|---|
40대 가장이라면, 지금부터 필요한 보장자산은 얼마일까요? (2) | 2025.04.18 |
50대도 늦지 않았어요! 보험은 전략입니다. (0) | 2025.04.18 |
복지용구 샀는데 보험금이 나온다고요? (0) | 2025.04.17 |
건강 검진 전,후 보험 점검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