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사례

실손보험, 남들보다 더 많이 돌려받는 청구전략

by 다정한 설계사 2025. 4. 15.
반응형

보험일을 하다보면 가입보다도 가입이후 보험관리나 청구 관계소통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병원에 가기전 병원에 다녀오신 후 설계사와 충분히 소통해주신다면 내가 내는 보험료가 아깝지 않단 생각 드실거에요 !!

보통은 대부분 가입만 해놓고 내가 왜 이걸 가입했지? 잊어버리는 경우도 있고

정말 큰병이나 걸려야 보상받는다고 생각하시지만 

아닙니다. 보험은 늘 언제나 혹시모를 경우에 대비해서 나의 자산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소액이니까 뭐 이거 청구해서 얼마나 나오겠어 하지마시고 

물어보시고 내가 받을수있는게 또 없는지 확인해보는 습관을 길러보세요 

심지어 저희 부모님도 고혈압 당뇨약을 타서 드셨지만 ... 갈때마다 몇천원 몇만원 안하던데? 하면서 청구 안하던게 있으셨더라구요 ㅠㅠ 에그머니나.. 😢

지금은 제가 알려드렸더니 1년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청구하셔서 그래도 티끌모아 태산이라고 몇십만원씩 돌려받으시니까 좋아하셨어요..

여러분들께서도 보험가입해놓고 내가 못받고 있던 혜택은 없었는지 .. 한번 점검해보세요 !!!

 

 

만성질환 꿀팁까지 총정리!

보험은 가입도 중요하지만,
‘제대로 청구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진료비가 소액이라고 그냥 넘기고,
실손보험만 되는 줄 알고
숨은 보험금을 놓치는 분들이 정말 많거든요.

오늘은 실손보험 청구 꿀팁부터,
만성질환 약 처방 1년치 청구법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드릴게요!

보험금 청구하는 방법 설명

 

병원비 청구, 기본부터 정확히!

병원에서 진료 후 보험금 청구 시, 꼭 알아두세요:

1️⃣ 청구 가능 기한
→ 진료일 기준 3년 이내 청구 가능
(기간 지나면 지급 불가)

2️⃣ 기본 서류

  • 병원 진료비 영수증
  • 약국 영수증 (처방 조제일자 포함)
  • 진단서 또는 진단명이 포함된 서류 (질병 코드 확인용)

3️⃣ 청구 방법
→ 보험사 앱 또는 홈페이지로 간편 청구 가능
※ 10만 원 이하 소액 진료는 진단서 없이도 가능

 

진단코드에 따라 보험금이 달라질 수 있어요!

주의하세요!

병원에서 진단을 받는 경우
상병코드(진단코드)에 따라
보험 가입이나 추후 청구 금액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보험금이 지급되는 질병인지
🔹 가입 제한이 걸릴 수 있는 질병인지

진단서에 기재된 코드 확인은 꼭 필요해요!
병원비 청구 전에 설계사에게 한 번만 상담받아도
훨씬 정확하고 안전하게 청구할 수 있습니다.

 

실비 말고, 다른 보험에서도 나올 수 있어요

고객님들 중 대부분이
“실손보험만 청구하면 끝”이라고 생각하세요.
하지만 가입 내역을 확인해보면,
수술특약 / 입원특약 / 진단금 / 통원치료비 / 재진비
다른 보험에서도 중복 청구 가능한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제가 상담할 땐,
가입 내역부터 전부 확인한 뒤
“어디서 얼마까지 청구 가능하다”는 걸
정확히 알려드리고 도와드려요.

 

💊 만성질환 약 복용자, 꼭 알아야 할 꿀팁

고혈압, 당뇨 등 정기적으로 약을 드시는 분들!
소액이라 청구 안 하고 계신가요?

1년치 몰아서 청구 가능합니다.

📝 준비할 서류는?

  • 병원 진료비 영수증 1년치
  • 약국 영수증 (조제일자 포함)
  • 진단서 1부 (질병명 포함)

👉 병원/약국에 요청하면 출력 가능합니다.
👉 보험사 앱에서 한번에 청구 가능!
👉 실손 외 특약 여부도 함께 확인하면 더 많이 돌려받을 수 있어요.


📌 요약하자면

  • 병원비는 진료일 기준 3년 이내 청구
  • 진단서에 기재된 질병코드 꼭 확인
  • 실손 외 특약 청구 가능 여부 점검
  • 만성질환자는 1년치 청구로 더 효율적
  • 혼자 하지 마세요! 전문가와 함께 점검하면 훨씬 든든합니다.

 

📱 보험 청구, 단순한 서류 작업이 아닙니다.
제대로 돌려받고, 보장까지 유지하는 게 핵심입니다.

궁금하시다면 카카오톡 상담 신청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