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괜찮아도, 10년 후는 자신 없어요."
얼마 전 상담한 42세 고객님의 말입니다.
프리랜서로 일하며 월소득은 800만 원 이상,
자녀는 올해 6살, 아파트는 7억 원인데 대출이 4억 원 남아 있고
생활비는 매달 700만 원 가까이 들어간다고 하셨어요.
"솔직히 지금은 겨우 맞춰서 살아가는데,
애가 크면 어떻게 될지 상상이 안 돼요."
"퇴직금도 없고, 국민연금 말고는 노후 준비도 없어요."
그래서 저는 고객님께
‘지금부터 준비해야 할 자산은 얼마인지’
그리고 그걸 어떻게 보험으로 분할해서 대비할 수 있는지를
함께 정리해드렸습니다.
📌 시뮬레이션: 지금 필요한 보장자산은 얼마일까?
① 비상자금: 생활비 6개월치 → 약 4,000만 원
② 주택자금(대출 잔액 대비 대비금): 약 5,000만 원 이상
③ 자녀 교육비: 유치원~대학교까지 약 2억 원
④ 자녀 결혼자금: 약 3,000만 원
⑤ 노후자금: 30년 × 월 250만 원 = 약 9억 원
👉 총합 약 11억 ~ 13억 원
이 금액을 지금 당장 마련하라는 뜻은 아닙니다.
다만, 이만큼의 리스크를 우리는 '떠안고 살아가고 있다'는 걸
수치로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이미 절반은 준비된 셈이에요.
📌 그럼 보험으로 무엇을 준비할 수 있을까요?
✔ 실손보험 + 진단비 → 병원비와 치료비 대비
✔ 종신보험(연금전환 포함) → 사망 + 노후자산 + 상속 대비
✔ 연금저축, IRP → 세액공제 + 노후 소득 보완
✔ 치매보험 or 장기요양특약 → 간병 리스크 대응
✔ 자녀를 위한 어린이보험 + 교육자금 특약 → 미래 설계 자산
즉, 보험은 단순히 보장이 아니라
**리스크를 나누는 설계 도구**예요.
적립과 보장을 조합하면 ‘살아가며 꺼내 쓸 수 있는 돈’을
계획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고객님에게 제가 드린 말
"○○님, 지금 소득이 높다고 안심할 수는 없어요.
사실 소득이 높을수록 리스크도 커지거든요.
병원비, 노후자산, 자녀비용…
이제는 '무언가 하나만'으로는 부족한 시대예요.
그래서 저는 상품이 아니라
○○님 가족의 인생에 맞는 자산구조를 설계해드리고 싶어요."
고객님은 잠시 말이 없으시다가
"이렇게 숫자로 정리해보니까, 이제야 현실이 보이네요."
라고 말씀하셨어요.
📌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보장자산 시리즈 예고
이번 글을 시작으로
보장자산의 5가지 영역을 나눠서 하나하나 설명드릴 예정입니다.
1) 재무설계 – 내 돈의 흐름을 잡는 구조
2) 노후준비 – 국민연금 외에 무엇이 필요한가
3) 연금보험 – 내가 만드는 평생 월급통장
4) 목적자금 – 교육비, 결혼자금, 내 집 마련 설계
5) 위험보장 – 실비, 진단비, 간병 대비
각 영역마다 어떤 보험이 필요하고
어떻게 설계해야 낭비 없이 효과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지
전문가의 눈으로, 하지만 쉬운 말로 정리해드릴게요.
📩 지금 내 상황에 맞는 리스크 분석부터 받고 싶다면
언제든 조용히, 자세히 상담드릴게요 :)
👉 [카카오 채널 상담하기](http://pf.kakao.com/_fAYPn/chat)
'보장자산 리모델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확실한 경제, 자산을 어떻게 보호할까? (0) | 2025.04.27 |
---|---|
경제 불확실성 대비, 자산보호를 위한 '달러보험'의 필요성 (0) | 2025.04.25 |
흘러가는 돈이 아니라, 목적자산으로 묶어둬야 합니다 (0) | 2025.04.22 |
국민연금만으로 충분할까요? (1) | 2025.04.21 |
돈이 안 모이는 건 의지 탓이 아닙니다. (1) | 2025.04.21 |